반응형

 

 

 

1. <strong> 태그, <b> 태그 - 굵게 표시하기

 

 기본형 : <strong> 굵게 강조할 텍스트 </strong>

            <b> 굵게 표시할 텍스트</b>

 

 - 텍스트 중에서 굵게 표시하려고 할 때 <strong> 태그나 <b> 태그를 사용합니다. 두 태그의 차이점은 *화면 낭독기에서 차이점을 보이는데,

   <strong> 태그를 사용하면 화면낭독기는 해당 부분이 강조되었다고 알려주나, <b> 태그는 알려주지 않습니다.

    그래서 중요한지 아닌지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.

 

   <strong> : 중요한 내용 강조

   <b> : 단순히 굵게 표시

 

   * 화면 낭독기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웹 브라우저의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프로그램입니다.

     화면 낭독기를 사용하여 두 개의 태그 차이점을 확인해보고 싶지만 유료 프로그램이라 확인은 못 했습니다.

 

   두 개의 태그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어떤지 확인해보겠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strong><b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strong>Hello, World!</strong><br>
    <b>Hello, World!</b>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<사진 1.1> 코드는 <strong> 태그와 <b> 태그를 사용하여 Hello, World! 문장을 출력하도록 작성했습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이렇게 웹 브라우저에서는 <strong> 태그나 <b> 태그를 사용해도 큰 차이 없이 출력 됩니다.

 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mark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11
[HTML5] <q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8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lockquot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h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반응형

1. <pre> 태그 - 입력하는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기

 

 기본형 : <pre> 텍스트 </pre>

 

 - HTML에서는 아무리 많은 공백(스페이스 바)을 넣어도 브라우저 창에는 한 개의 공백만 표시됩니다.

   아래 <사진 1.1> 코드는 ABCD는 스페이스바를 한 번 입력했고 E와 F는 스페이스를 엄청 눌렀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pre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A B C D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E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F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아래는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많은 공백을 원했지만 웹 브라우저는 많은 공백을 무시하고 단 하나의 공백으로만 표현이 되었습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

<pre> 태그를 사용할 경우, 소스에 표시한 모든 공백이 웹 브라우저에 그대로 표시됩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pre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pre>A B C D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E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F</pre>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2>

 

<사진 1.1>에서 작성한 코드에서 <pre> 태그를 사용해봤습니다. 결과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<사진 1.2 결과 화면>

 

<pre> 태그를 사용하니 제가 원하던 공백이 모두 표현이 되었습니다.

반응형
반응형

1. <blockquote> 태그 - 인용문 삽입하기

 

 기본형 : <blockquote> 인용 내용 </blockquote>

 

 - 다른 홈페이지의 글을 인용할 경우, <blockquote> 태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인용한 문장은 다른 텍스트 안으로

   들여쓰기 기능이 되므로 다른 텍스트들과 구별이 가능합니다.

  

   그러면 바로 예제를 작성해보겠습니다. JAVA 언어 개발자인 제임스 고슬링을 위키백과에 검색하여 나온 결과로

   작성했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blockquote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h1>제임스 고슬링</h1>
    <p>제임스 아서 고슬링(James Arthur Gosling, 1955년 5월 19일 ~ )은 캐나다의 소프트웨어 개발자이다.
    자바를 최초 개발하여 '자바의 아버지'라 불리며, 가장 영향력 있는 프로그래머들 가운데 한 사람이다. 
    자바 이외에도 다중 프로세서용 유닉스와 컴파일러, 메일 시스템, 데이터 인식 시스템 등을 개발하였다.</p>
    <blockquote>
    개발자 가운데서는 마이크로소프트의 빌 게이츠(William H. Gates)만큼이나 유명하지만, 
    개발자 특유의 '몰두' '은둔' 성향 때문에 세상에 널리 알려지지는 않았다. 
    그는 또 자바 커피를 하루에도 10여 잔 씩 마시는 자바 예찬론자이기도 해서, 
    자바(Java)라는 명칭은 유명한 커피 재배지인 인도네시아 섬 이름인 자바섬에서 따왔다고 한다.
    </blockquote>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코드 12~17번째 줄을 보면 <blockquote> 태그를 사용 했습니다. 아래는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결과 화면을 보면 <blockquote> 태그를 사용한 부분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인용한 문장이 자동으로 들여쓰기가 되었습니다!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strong>태그, <b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8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h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b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p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반응형

1. <hr> 태그 - 수평 줄 넣기

 

 기본형 : <hr>

 

 - <hr> 태그의 hr은 수평선 이라는 뜻을 가진 horizontal 에서 스펠링 hr을 따와서 사용하는 태그입니다.

   보통 여러 개의 텍스트 단락을 나열하는 도중에 텍스트 단락의 주제가 바뀔 때 분위기 전환용으로 사용합니다.

 

<hr>태그를 사용하여 간단한 예제를 작성해보겠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http-equiv="Content-Type" content="text/html; charset=euc-kr">
<title><br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Hello, World!<br>
    HTML5<br>
    CSS3<br>
    JavaScript<br>
    <hr>
    Korean<br>
    English<br>
    Japanese<br>
    Chinese<br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<hr> 태그, 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위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입력하고 수평선 밑에는 나라별 언어를 작성했습니다. 

결과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프로그래밍 언어와 나라별 언어를 구분하기 쉽게 <hr> 태그를 사용하여 구분지었습니다.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lockquot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p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[HTML5] <hn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반응형

1. <br> 태그 - 줄 바꾸기

 

 기본형 : <br>

 

 - 코드 작성시 줄바꿈(엔터)을 하더라도 결과 화면은 줄바꿈 없이 한 줄로 표시됩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http-equiv="Content-Type" content="text/html; charset=euc-kr">
<title><br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Hello, World!
    HTML5
    CSS3
    JavaScript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<사진 1.1>은 Hello, World!를 입력 후 엔터를 눌렀고 HTML5를 입력 후 엔터를 눌렀으며 CSS와 JavaScript도

마찬가지입니다. 우리가 예상하는 결과와는 달리 결과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이렇게 웹 브라우저 창에는 줄바꿈 없이 한 줄로 표시됩니다. 웹 브라우저 창에서 줄바꿈을 하려면 줄을 바꿀 위치에

<br> 태그를 사용합니다. <br>태그는 닫는 태그가 없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http-equiv="Content-Type" content="text/html; charset=euc-kr">
<title><br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Hello, World!<br>
    HTML5<br>
    CSS3<br>
    JavaScript<br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2>

 

<사진 1.2>과 같이 줄바꿈을 희망하는 곳에 <br>태그를 입력하면 마치 엔터를 누른 것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.

 

<사진 1.2 결과 화면>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lockquot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h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p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[HTML5] <hn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반응형

1. <p> 태그 - 단락 만들기

 

기본형 : <p> 텍스트 </p>

 

 - 텍스트를 표시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태그가 <p> 태그입니다. <p> 태그는 단락을 만드는데 '단락'이란 앞뒤에 줄바꿈이

   있는 텍스트 덩어리를 의미합니다.

   <p> 태그는 다음 </p> 태그를 만날 때까지 줄바꿈 없이 텍스트를 한 줄로 표시하는데 텍스트 줄이 웹 브라우저의 창의

   너비보다 길어질 경우, 줄이 자동으로 바뀝니다.

 

   아래 코드는 <p>태그를 사용하여 다섯 문장을 작성했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p>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p>p 태그 사용 방법입니다.</p>
    <p>p 태그 사용 방법입니다.</p>
    <p>p 태그 사용 방법입니다.</p>
    <p>p 태그 사용 방법입니다.</p>
    <p>p 태그 사용 방법입니다.</p>
</body>
</html>
cs

 <사진 1.1>

 

<사진1.1> 코드의 결과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결과 화면을 보시면 <br>태그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<p>태그를 사용하여 자동 줄바꿈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!

 

 * <br> 태그를 두 개 삽입하면 <p> 태그와 비슷한 기능을 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웹 브라우저는 이것을 텍스트 단락으로

   인식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해주세요!

 

 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lockquot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h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b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hn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반응형

1. <hn> 태그 - 제목 표시하기

 

기본형 : <hn> 제목 </hn>

 

  - <hn> 태그는 일반 텍스트보다 크고 진하게 표시됩니다.

    <h1> ~ <h6> 태그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<h1> 태그가 가장 크게 표시되고 <h6> 태그가 가장 작게 표시 됩니다.

   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hn>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h1>Hello, world!</h1>
    <h2>Hello, world!</h2>
    <h3>Hello, world!</h3>
    <h4>Hello, world!</h4>
    <h5>Hello, world!</h5>
    <h6>Hello, world!</h6>
</body>
</html>

cs

<사진 1.1>

 

아래 <사진 1.2>는 위 코드의 결과 화면 입니다.

 

<사진 1.2>

 

<hn> 태그의 n의 숫자가 작아질수록 제목 글씨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!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lockquot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h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b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p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