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 

1. <table>, <tr>, <td>, <th> 태그 - 기본적인 표 만들기

 

 기본형 :

 

 <table>

<tr>

<th></th> <!-- 표에 제목 셀 만드는 태그입니다. 해당 셀에 들어가는 내용을 셀의 중앙에 배치하고 굵게 표시합니다.-->

<td>내용</td>

<td>내용</td>

</tr>

</table>

 

 -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보는 표를 머릿속으로 상상해보세요. 가로, 세로로 각각 행과 열이 있고 그 안에 내용이 입력됩니다.

   이런 표를 만들 때는 표를 만드는 태그와 행을 만드는 태그, 열을 만드는 태그가 각각 필요합니다.

   이렇게 하나의 표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태그가 필요합니다.

 

2. 기본적인 표 만들기

 

 우선 <table> 태그를 이용하여 표 전체 윤곽을 잡은 다음에 행(row)을 먼저 만들고 각 행마다 몇 개의 셀(cell)이 들어갈지 결정합니다.

 예를 들어 2개의 행과 3개의 열을 가진 표를 만든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만들면 됩니다.

 

 1) <table> 태그를 이용하여 표 자리를 만듭니다.

 

1
2
3
<table>
 
<table>
cs

<사진 1.1>

 

 2) <tr> 태그를 사용하여 2개의 행을 만듭니다.

 

1
2
3
4
5
6
7
8
<table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
    </tr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
    </tr>
</table>
cs

<사진 1.2>

 

 3) <td> 태그를 사용하여 각 행마다 셀을 3개씩 만듭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<table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<td></td>
        <td></td>
        <td></td>
    </tr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<td></td>
        <td></td>
        <td></td>
    </tr>
</table>
cs

<사진 1.3>

 

 4) 각 셀에 들어갈 내용은 <td>와 </td> 사이에 입력합니다.

 

 다음은 내용이 들어간 코드입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table><tr><td><th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<table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<th>제목 셀</th>
        <td>1행 2열</td>
        <td>1행 3열</td>
        <td>1행 4열</td>
    </tr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<th>제목 셀</th>
        <td>2행 2열</td>
        <td>2행 3열</td>
        <td>2행 4열</td>
    </tr>
</table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4>

 

다음은 <사진 1.4>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4 결과 화면>

 

결과 화면을 보면 입력한 대로 출력이 되었지만 우리가 생각했던 표가 아닙니다. 왜냐하면 표를 구분 짓는 테두리 없이 표현이 되었기 때문입니다.

테두리를 표현하고자 한다면 <table> 태그 안에 border 속성으로 속성 값을 1을 주어야 합니다. 다음은 border 속성을 입력한 코드입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table><tr><td><th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<table border="1"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<th>제목 셀</th>
        <td>1행 2열</td>
        <td>1행 3열</td>
        <td>1행 4열</td>
    </tr>
    <tr>
        <th>제목 셀</th>
        <td>2행 2열</td>
        <td>2행 3열</td>
        <td>2행 4열</td>
    </tr>
</table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5>

 

다음은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5 결과 화면>

 

<table> 태그 안에 border 속성을 입력한 결과입니다. border 속성값으로 1을 입력했지만 숫자가 올라갈수록 테두리 색이 진하게 표현됩니다.

 

 

반응형
반응형

 

1. <dl>, <dt>, <dd> 태그 - 설명 목록 만들기

 

 기본형 :

 

<dl>

<dt> 제목 </dt>

<dd> 설명 </dd>

...

</dl>

 

 - <dl> 태그는 사전 구성처럼 '제목'<dt>과 '설명'<dd>이 한 쌍인 설명 목록(Description List)을 만듭니다.

   <dt> 태그는 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.

   <dd> 태그는 설명을 표시합니다. 하나의 <dt> 태그에 여러 개의 <dd> 태그를 가질 수 있습니다.

 

다음은 <dl>, <dt>, <dd> 태그를 사용한 예제입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dl><dt><dd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h1>내가 좋아하는 연예인</h1>
    <dl>
        <dt>배우</dt>
        <dd>이연희</dd>
        <dd>조승우</dd>
        <dd>전지현</dd>
        <dt>가수</dt>
        <dd>박효신</dd>
        <dd>아이유</dd>
        <dd>성시경</dd>
    </dl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제가 좋아하는 배우 3명과 가수 3명을 작성하였습니다. 다음은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반응형
반응형

 

1. <ul> 태그 - 순서 없는 목록 만들기

 

 기본형 :

<ul>

<li> 내용 </li>

<li> 내용 </li>

...

</ul>

 

 - <ul> 태그는 Unordered List의 약자로써 '정돈되지 않은 리스트'를 뜻 합니다.

   <ul> 태그를 사용하고 <ul> 태그 안에 <li> 태그를 사용하여 각 항목을 표시합니다. <ul> 태그 사용 시 각 항목 앞에 작은 원이나 사각형 같은

   불릿(bullet)이 붙습니다. 작은 원이 디폴트 값입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ul><li>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ul>
        <li>a</li>
        <li>b</li>
        <li>c</li>
        <li>d</li>
        <li>e</li>
    </ul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<사진 1.1> 코드는 <ul> 태그와 <li> 태그를 사용했습니다. 그리고 <li> 태그의 끝 태그인 </li> 태그를 생략해도 결과는 같습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결과 화면을 보면 a, b, c, d, e의 앞에 작은 원인 불릿이 붙어서 출력되는 것을 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2. <ol> 태그 - 순서 목록 만들기

 

 기본형 :

<ol>

<li> </li>

<li> </li>

<li> </li>

....

</ol>   

 

 - <ol> 태그는 Ordered List의 약자로써  '정돈된 리스트'를 뜻 합니다.

   <ul> 태그처럼 순서 없는 목록이 아닌, 순서를 알고 싶은 목록을 사용하고 싶으면 <ol> 태그를 사용하면 됩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ol><li>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ol>
        <li>a</li>
        <li>b</li>
        <li>c</li>
        <li>d</li>
        <li>e</li>
    </ol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2>

 

<사진 1.2> 코드는 <사진 1.1> 코드에서 <ul> 태그 부분을 <ol> 태그로만 수정한 코드입니다. 아래는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 1.2 결과 화면>

 

<ul> 태그와 달리 <ol> 태그는 순서를 확인할 수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.  물론 <li> 태그의 끝 태그는 생략 가능합니다.

 

2.1 <ol> 태그의 Type 속성

 

<사진 1.3>

 

위 표는 <ol> 태그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 값들 입니다.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ol><li>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ol type="1"> <!-- 속성 값 1은 type 속성의 디폴트 값이므로 작성하지 않아도 결과는 똑같습니다. -->
        <li>a</li>
        <li>b</li>
        <li>c</li>
    </ol>
 
    <ol type="a">
        <li>a</li>
        <li>b</li>
        <li>c</li>
    </ol>
 
    <ol type="A">
        <li>a</li>
        <li>b</li>
        <li>c</li>
    </ol>
 
    <ol type="i">
        <li>a</li>
        <li>b</li>
        <li>c</li>
    </ol>
 
    <ol type="I">
        <li>a</li>
        <li>b</li>
        <li>c</li>
    </ol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4>

 

아래는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4 결과 화면>

반응형
반응형

1. <span> 태그 - 줄바꿈 없이 영역 묶기

 

 기본형 : <span> 내용 </span>

 

 - <span> 태그는 태그 자체로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텍스트 단락 안에서 줄바꿈 없이 일부 텍스트만 묶어 스타일을 적용하려고 할 때

   즉, CSS스타일을 지정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. <span> 태그는 한 문장 단위로 묶습니다.

  

1
2
3
4
5
6
7
8
9
10
11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span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자바는 썬 마이크로시스템즈의 <span style="color:blue">제임스 고슬링(James Gosling)</span>과 
    다른 연구원들이 개발한 객체 지향적 프로그래밍 언어이다. 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위 코드는 '제임스 고슬링(James Gosling)'의 문자열 부분만 파란색으로 바꾸기 위하여 <span> 태그와 CSS를 적용시켰습니다.

아래 코드는 결과 화면 입니다. 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반응형
반응형

 

1. <mark> 태그 - 형광펜 효과

 

 기본형 : <mark> 텍스트 </mark>

 

 - 형광펜으로 그어 놓은 효과를 내는 태그입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charset="EUC-KR">
<title><mark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mark>Hello, World!</mark>입니다.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Hello, World!입니다. 라는 문장에서 Hello, World! 부분을 <mark> 태그를 사용했습니다. 아래는 결과 화면 입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 

반응형
반응형

 

 

1. <q> 태그 - 인용 내용 표시하기

 

 기본형 : <q> 인용 내용</q>

 

 - 인용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<q>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<q> 태그가 <blockquote> 태그와 다른 점은 <blockquote> 태그는 인용 내용이

   줄이 바뀌어 나타나고, 다른 내용과 구분이 되도록 들여쓰기 기능이 적용되지만 <q> 태그는 인라인 레벨 태그이기 때문에 줄바꿈 없이 다른

   내용과 함께 한 줄로 표시되고 인용 내용을 구분할 수 있도록 따옴표를 붙어 표시합니다.

 

   간단한 <q> 태그 예제를 작성해보겠습니다.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를 위키 백과에서 검색 한 결과입니다.

 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q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h1>팀 버너스리</h1>
    <q>1989년 월드 와이드 웹의 하이퍼텍스트 시스템을 고안하여 개발했다.
    인터넷의 기반을 닦은 여러 공로로 웹의 아버지라고 불리는 인물 중 하나이다.
    URL, HTTP, HTML 최초 설계도 그가 한 것이다.</q>
    
    <blockquote>1989년 월드 와이드 웹의 하이퍼텍스트 시스템을 고안하여 개발했다.
    인터넷의 기반을 닦은 여러 공로로 웹의 아버지라고 불리는 인물 중 하나이다.
    URL, HTTP, HTML 최초 설계도 그가 한 것이다.</blockquote>  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<사진 1.1>은 <q> 태그와 <blockquote> 태그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내용의 문장을 <q> 태그와 <blcokquote> 태그를 사용하여 작성했습니다. 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보시다시피 <q> 태그를 사용한 내용은 줄바꿈이 없고, 큰 따옴표("")가 자동으로 문장의 끝과 처음에 삽입이 되었습니다.

아래 문장 즉, <blockquote> 태그는 인용 내용이 줄이 바뀌어 적용이 되고 들여쓰기 기능이 적용되었습니다. 

반응형
반응형

 

 

 

1. <strong> 태그, <b> 태그 - 굵게 표시하기

 

 기본형 : <strong> 굵게 강조할 텍스트 </strong>

            <b> 굵게 표시할 텍스트</b>

 

 - 텍스트 중에서 굵게 표시하려고 할 때 <strong> 태그나 <b> 태그를 사용합니다. 두 태그의 차이점은 *화면 낭독기에서 차이점을 보이는데,

   <strong> 태그를 사용하면 화면낭독기는 해당 부분이 강조되었다고 알려주나, <b> 태그는 알려주지 않습니다.

    그래서 중요한지 아닌지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.

 

   <strong> : 중요한 내용 강조

   <b> : 단순히 굵게 표시

 

   * 화면 낭독기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웹 브라우저의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프로그램입니다.

     화면 낭독기를 사용하여 두 개의 태그 차이점을 확인해보고 싶지만 유료 프로그램이라 확인은 못 했습니다.

 

   두 개의 태그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어떤지 확인해보겠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strong><b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strong>Hello, World!</strong><br>
    <b>Hello, World!</b>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<사진 1.1> 코드는 <strong> 태그와 <b> 태그를 사용하여 Hello, World! 문장을 출력하도록 작성했습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이렇게 웹 브라우저에서는 <strong> 태그나 <b> 태그를 사용해도 큰 차이 없이 출력 됩니다.

 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mark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11
[HTML5] <q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8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lockquot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h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반응형

1. <pre> 태그 - 입력하는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기

 

 기본형 : <pre> 텍스트 </pre>

 

 - HTML에서는 아무리 많은 공백(스페이스 바)을 넣어도 브라우저 창에는 한 개의 공백만 표시됩니다.

   아래 <사진 1.1> 코드는 ABCD는 스페이스바를 한 번 입력했고 E와 F는 스페이스를 엄청 눌렀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pre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A B C D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E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F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아래는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많은 공백을 원했지만 웹 브라우저는 많은 공백을 무시하고 단 하나의 공백으로만 표현이 되었습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

<pre> 태그를 사용할 경우, 소스에 표시한 모든 공백이 웹 브라우저에 그대로 표시됩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pre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pre>A B C D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E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F</pre>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2>

 

<사진 1.1>에서 작성한 코드에서 <pre> 태그를 사용해봤습니다. 결과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<사진 1.2 결과 화면>

 

<pre> 태그를 사용하니 제가 원하던 공백이 모두 표현이 되었습니다.

반응형
반응형

1. <blockquote> 태그 - 인용문 삽입하기

 

 기본형 : <blockquote> 인용 내용 </blockquote>

 

 - 다른 홈페이지의 글을 인용할 경우, <blockquote> 태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인용한 문장은 다른 텍스트 안으로

   들여쓰기 기능이 되므로 다른 텍스트들과 구별이 가능합니다.

  

   그러면 바로 예제를 작성해보겠습니다. JAVA 언어 개발자인 제임스 고슬링을 위키백과에 검색하여 나온 결과로

   작성했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charset="EUC-KR">
<title><blockquote> 태그 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<h1>제임스 고슬링</h1>
    <p>제임스 아서 고슬링(James Arthur Gosling, 1955년 5월 19일 ~ )은 캐나다의 소프트웨어 개발자이다.
    자바를 최초 개발하여 '자바의 아버지'라 불리며, 가장 영향력 있는 프로그래머들 가운데 한 사람이다. 
    자바 이외에도 다중 프로세서용 유닉스와 컴파일러, 메일 시스템, 데이터 인식 시스템 등을 개발하였다.</p>
    <blockquote>
    개발자 가운데서는 마이크로소프트의 빌 게이츠(William H. Gates)만큼이나 유명하지만, 
    개발자 특유의 '몰두' '은둔' 성향 때문에 세상에 널리 알려지지는 않았다. 
    그는 또 자바 커피를 하루에도 10여 잔 씩 마시는 자바 예찬론자이기도 해서, 
    자바(Java)라는 명칭은 유명한 커피 재배지인 인도네시아 섬 이름인 자바섬에서 따왔다고 한다.
    </blockquote>
</body>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코드 12~17번째 줄을 보면 <blockquote> 태그를 사용 했습니다. 아래는 결과 화면입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결과 화면을 보면 <blockquote> 태그를 사용한 부분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인용한 문장이 자동으로 들여쓰기가 되었습니다!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strong>태그, <b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8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h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b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p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반응형

1. <hr> 태그 - 수평 줄 넣기

 

 기본형 : <hr>

 

 - <hr> 태그의 hr은 수평선 이라는 뜻을 가진 horizontal 에서 스펠링 hr을 따와서 사용하는 태그입니다.

   보통 여러 개의 텍스트 단락을 나열하는 도중에 텍스트 단락의 주제가 바뀔 때 분위기 전환용으로 사용합니다.

 

<hr>태그를 사용하여 간단한 예제를 작성해보겠습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<!DOCTYPE html>
<html>
<head>
<META http-equiv="Content-Type" content="text/html; charset=euc-kr">
<title><br> 태그 사용 방법</title>
</head>
<body>
    Hello, World!<br>
    HTML5<br>
    CSS3<br>
    JavaScript<br>
    <hr>
    Korean<br>
    English<br>
    Japanese<br>
    Chinese<br>
</body>  
</html>
cs

<사진 1.1>

 

<hr> 태그, 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위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입력하고 수평선 밑에는 나라별 언어를 작성했습니다. 

결과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<사진 1.1 결과 화면>

 

프로그래밍 언어와 나라별 언어를 구분하기 쉽게 <hr> 태그를 사용하여 구분지었습니다.

반응형

'Web Basic > HTML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5] <pr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lockquote>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7
[HTML5] <br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5
[HTML5] <p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[HTML5] <hn> 태그 사용 방법  (0) 2018.03.03

+ Recent posts